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
Tags
- 삼정kpmg pt면접
- gensim
- 삼정kpmg mc4
- 토픽모델링
- 역검 전략게임 꿀팁
- ai역검 합격
- MYSQL
- 파이썬
- 형태소분석
- a2a
- pyLDAvis
- 서비스
- ai연동
- nlp
- mecab
- python
- 역검 합격 꿀팁
- 잡다 ai역량검사
- SQL
- join
- 역검 전략게임
- 잡다 ai역검
- 코딩테스트
- 오류
- 역검 결과표
- lda
- 프로그래머스
- 후기
- kpmg 인성검사
- 삼정kpmg 서류
Archives
- Today
- Total
쥬니어 기획자
[개발공부가 필요한 기획자의 눈물] MCP vs A2A 본문
반응형
어쩌다보니 담당 업무가 바뀌어버려 AI 공부가 필요한 불우한 기획자의 첫번째 개발 공부 일지
하기 싫어요 왜 해야 하죠..

1. MCP (Model Context Protocol)
MCP는 간단히 말해서, AI가 실제로 일할 수 있게 도와주는 연결 방식이다.
AI가 상황을 이해하고 외부 시스템이나 도구를 직접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구조라고 보면 된다.
전통적인 시스템은 사용자가 뭔가를 요청하면 정해진 로직대로 반응하지만
MCP를 쓰면 AI가 알아서 필요한 정보를 찾고, 필요한 도구를 호출해서 실제 작업까지 해낼 수 있다.
예를 들어서, 사용자가 “이번 달 카드 지출 내역 보여줘”라고 자연어로 요청하면,
AI가 ERP 시스템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꺼내 보여주는 흐름을 가능하게 해주는 것을 말한다.
구성
- 호스트: 사용자와 AI가 대화하는 인터페이스, 우리가 명령을 입력하는 창
- 클라이언트: 명령을 주고받는 전달자 역할, 호스트와 서버 사이에서 다리 역할
- 서버: 실제로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쪽, 외부 API나 기능을 여기서 실행
특징
- 정보를 JSON처럼 구조화해서 전달하니까 AI가 “뭘 해야 하는지”를 정확히 이해할 수 있음
- 단순히 문장만 해석하는 게 아니라 사용자의 의도와 맥락까지 파악해서 행동
- 복잡한 설정 없이 다양한 기능을 쉽게 연동할 수 있어서 빠르고 유연하게 확장 가능
활용 사례
- Claude: 캘린더, 문서 요약기 같은 도구를 연동해 AI가 직접 호출
- Cursor: AI가 코드 추천, 수정, 검색 등을 직접 실행하는 코딩 툴
- Smithery: 개발자가 MCP 서버를 등록하거나 검색할 수 있게 해주는 플랫폼
2. A2A (Application-to-Application Integration)
A2A는 시스템과 시스템을 직접 연결하는 방식이다.
AI가 개입하지 않아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이 알아서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구조다.
예를 들면, 우리 회사 인사 시스템이 SAP와 연동되어 있어서 신입 사원 정보를 한 번 입력하면 SAP 쪽에도 자동으로 등록되도록 하는 것이 A2A 방식이다.
특징
- 시스템끼리 직접 통신하면서 데이터를 주고받음
- 연동하려는 시스템마다 API 형식, 인증 방식 등을 따로 구성해야 해서 설정이 복잡할 수 있음
- 하지만 한 번 잘 구성해놓으면 안정적으로 오래 돌아가는 구조라서 기업에서 많이 쓰임
활용 사례
- ERP ↔ CRM 시스템 간의 주문·고객 정보 연동
- 웹 서비스 간 로그인 연동 (예: Google OAuth, REST API 연결)
3. MCP vs A2A 비교
요약하자면,
- MCP는 AI가 외부 도구를 직접 불러서 “일을 할 수 있게” 만들어주는 방식
- A2A는 시스템 간에 미리 연결선을 만들어두고, 그 안에서 자동으로 데이터가 왔다 갔다 하는 구조
항목 | MCP | A2A |
연결 구조 | 중앙 집중형 (호스트-클라이언트-서버) | 분산형 (시스템 간 직접 연결) |
확장성 | 높음 – 새로운 기능 쉽게 추가 가능 | 낮음 – 기능 추가 시 시스템 간 재구성 필요 |
설정 복잡도 | 낮음 – 통일된 프로토콜 기반 구성 | 높음 – 시스템 간 개별 설정 필요 |
AI 친화도 | 높음 – AI가 외부 도구 자율 활용 가능 | 낮음 – 단순 API 호출에 국한 |
적합한 상황 | 다양한 기능 연동, AI 중심의 작업 환경 | 단순한 시스템 간 데이터 교환 |
*비전공자가 정리한 내용이기에 틀린 부분이 있을 수 있음, 반박 시 내가 다 틀림...
반응형
'개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HTML] 기초 문법 (0) | 2023.09.07 |
---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