쥬니어 기획자

[개발공부가 필요한 기획자의 눈물] MCP vs A2A 본문

개발

[개발공부가 필요한 기획자의 눈물] MCP vs A2A

jyuuni 2025. 8. 21. 21:59
반응형

어쩌다보니 담당 업무가 바뀌어버려 AI 공부가 필요한 불우한 기획자의 첫번째 개발 공부 일지

하기 싫어요 왜 해야 하죠..


 

1. MCP (Model Context Protocol)

MCP는 간단히 말해서, AI가 실제로 일할 수 있게 도와주는 연결 방식이다.


AI가 상황을 이해하고 외부 시스템이나 도구를 직접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구조라고 보면 된다.

전통적인 시스템은 사용자가 뭔가를 요청하면 정해진 로직대로 반응하지만
MCP를 쓰면 AI가 알아서 필요한 정보를 찾고, 필요한 도구를 호출해서 실제 작업까지 해낼 수 있다.

 

예를 들어서, 사용자가 “이번 달 카드 지출 내역 보여줘”라고 자연어로 요청하면,
AI가 ERP 시스템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꺼내 보여주는 흐름을 가능하게 해주는 것을 말한다.

구성
  • 호스트: 사용자와 AI가 대화하는 인터페이스, 우리가 명령을 입력하는 창
  • 클라이언트: 명령을 주고받는 전달자 역할, 호스트와 서버 사이에서 다리 역할
  • 서버: 실제로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쪽, 외부 API나 기능을 여기서 실행
특징
  • 정보를 JSON처럼 구조화해서 전달하니까 AI가 “뭘 해야 하는지”를 정확히 이해할 수 있음
  • 단순히 문장만 해석하는 게 아니라 사용자의 의도와 맥락까지 파악해서 행동
  • 복잡한 설정 없이 다양한 기능을 쉽게 연동할 수 있어서 빠르고 유연하게 확장 가능
활용 사례
  • Claude: 캘린더, 문서 요약기 같은 도구를 연동해 AI가 직접 호출
  • Cursor: AI가 코드 추천, 수정, 검색 등을 직접 실행하는 코딩 툴
  • Smithery: 개발자가 MCP 서버를 등록하거나 검색할 수 있게 해주는 플랫폼

2. A2A (Application-to-Application Integration)

A2A는 시스템과 시스템을 직접 연결하는 방식이다.
AI가 개입하지 않아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이 알아서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구조다.

예를 들면, 우리 회사 인사 시스템이 SAP와 연동되어 있어서 신입 사원 정보를 한 번 입력하면 SAP 쪽에도 자동으로 등록되도록 하는 것이 A2A 방식이다.

특징
  • 시스템끼리 직접 통신하면서 데이터를 주고받음
  • 연동하려는 시스템마다 API 형식, 인증 방식 등을 따로 구성해야 해서 설정이 복잡할 수 있음
  • 하지만 한 번 잘 구성해놓으면 안정적으로 오래 돌아가는 구조라서 기업에서 많이 쓰임
활용 사례
  • ERP ↔ CRM 시스템 간의 주문·고객 정보 연동
  • 웹 서비스 간 로그인 연동 (예: Google OAuth, REST API 연결)

3. MCP vs A2A 비교

 

요약하자면,

 

  • MCP는 AI가 외부 도구를 직접 불러서 “일을 할 수 있게” 만들어주는 방식
  • A2A는 시스템 간에 미리 연결선을 만들어두고, 그 안에서 자동으로 데이터가 왔다 갔다 하는 구조

 

항목 MCP A2A
연결 구조 중앙 집중형 (호스트-클라이언트-서버) 분산형 (시스템 간 직접 연결)
확장성 높음 – 새로운 기능 쉽게 추가 가능 낮음 – 기능 추가 시 시스템 간 재구성 필요
설정 복잡도 낮음 – 통일된 프로토콜 기반 구성 높음 – 시스템 간 개별 설정 필요
AI 친화도 높음 – AI가 외부 도구 자율 활용 가능 낮음 – 단순 API 호출에 국한
적합한 상황 다양한 기능 연동, AI 중심의 작업 환경 단순한 시스템 간 데이터 교환

 

*비전공자가 정리한 내용이기에 틀린 부분이 있을 수 있음, 반박 시 내가 다 틀림...

반응형

'개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HTML] 기초 문법  (0) 2023.09.0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