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역검 전략게임
- 삼정kpmg pt면접
- SQL
- 삼정kpmg 취업
- 컨설팅 면접
- 형태소분석
- lda
- 삼정kpmg mc4
- 역검 결과표
- 파이썬
- 코딩테스트
- mecab
- ai역검 합격
- nlp
- 후기
- join
- kpmg 인성검사
- 잡다 ai역량검사
- 역검 전략게임 꿀팁
- 프로그래머스
- 토픽모델링
- 삼정kpmg 서류
- pyLDAvis
- 잡다 ai역검
- python
- 서비스
- 역검 합격 꿀팁
- MYSQL
- 오류
- gensim
- Today
- Total
쥬니어 분석가
[UX] 원티드 UX 분석 및 아쉬운 점 본문
스타트업 정보 많음 & 깔끔한 UI & 유용한 아티클 등 매력적인 요인이 많아 여러 채용 플랫폼 중 원티드를 가장 선호하는 내가 생각하는 원티드의 UX 분석 및 실제 사용자 입장에서 아쉬운 점을 정리해보려고 한다.
아무래도 들어가서 제일 먼저 보이는 페이지이고, 원티드 방문 목적 중 가장 높은 이유인 채용 페이지에 집중해서 서비스 및 UX를 비교해 보겠다.
원티드의 홈화면이라고 볼 수 있는 채용 페이지 상단에는 채용 공고, 이력서 관리, 커리어 조회, 지원 현황을 볼 수 있는데
원티드의 주요 기능을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고 직관적인 아이콘을 사용해 접근성 및 편리성을 제공해 준다.
방문자가 가장 최근에 본 포지션과 지원 추천 포지션, 원티드 AI를 활용한 내가 관심 있을 만한 포지션 총 3개의 포지션 섹션이 노출된다.
1. 000님, 지금 바로 지원해볼까요?
해당 섹션에서는 총 10개의 포지션을 보여준다.
보여주는 포지션은 내가 북마크 한 포지션과 어떤 로직에 의해 추천된 것 같은 포지션으로 이루어져 있다.
어떤 로직으로 노출되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세 포지션 섹션 중에서는 가장 내가 원하는 공고가 모여있다.
다만 아쉬운 점이 있다면 다른 섹션에 비해 전체 보기가 안 돼서 좌우로 슬라이딩을 해야 한다.
"전체보기 시 북마크로 랜딩 될 수 있도록 해도 좋지 않았을까?"라는 생각이 들었다.
2. 최근 본 포지션
이 섹션에서는 최근 3주 동안 조회한 포지션을 최대 50개까지 보여주는 페이지이다.
실시간으로 계속 추가되고, 예전에 봤던 기억도 안나는 포지션을 다시 리마인드 해주는 것 같아서 유용했다.
3. 내가 관심 있을 만한 포지션
해당 페이지에는 작성한 이력서를 기반으로 나에게 맞는 포지션을 추천해 준다.
이력서를 기반으로 내가 작성한 내용과 채용 조건이 유사한 포지션이거나, 합격한 이력서와 내 이력서의 일치 정도를 확인하여 포지션을 추천해 주는 것 같다.
가장 합격 확률이 높은 포지션부터 내림차순으로 정렬해 준다.
이력서 작성 후 뜨는 AI 서비스 (AI 이력서 리뷰 신청하기/AI 합격예측 포지션 확인하기)
내가 관심 있을 만한 포지션 내용은 원티드 이력서 작성 후 나오는 합격예측 포지션과 유사한 추천 AI를 사용하는 것 같다.
원티드 이력서로 지원 시 합격확률이 높아진다는 문구도 있어 원티드 이력서 페이지도 들어와 봤다.
이력서를 작성 후 완료 버튼을 누르면 작성한 이력서를 기반으로 AI 서비스를 추천해 준다.
이 중에서 나는 AI 합격예측 포지션 확인하기를 먼저 확인해 보겠다.
뭔가 "합격예측"이라는 말이 가진 후킹성 때문인지 이력서 리뷰 신청 버튼보다 더 클릭을 유도할 수 있는 것 같다.
약 10초 정도를 기다리면 원티드 AI가 작성한 이력서를 토대로 합격 가능성이 높은 포지션을 보여준다.
어떤 로직에 의해 해당 점수가 나온 지 자세히는 모르겠지만 해당 AI 추천 포지션이 정확하게 맞지는 않다고 느꼈다.
그 이유는 아래와 같다.
- 내 경력은 총 1년 즈음의 주니어 레벨이지만 5년 이상의 팀장이나 리더의 포지션이 추천으로 뜨는 경우가 많다.
경력 정보는 반영되지 않는 것 같은 추천 서비스
이력서 내 입력된 정보에서 경력 기간 데이터만 뽑아서 활용할 수 있을 것 같은데
"경력 기간을 고려한 포지션 추천이 있다면 조금 더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지 않을까?"라고 생각한다.
- 유사한 로직을 사용한다고 생각한 AI 이력서 리뷰 신청으로 얻은 적합 직무와 합격예측 포지션 내 직무가 너무 다르다.
적합 직무가 반영되지 않는 것 같은 합격예측 포지션
이력서 내용 상 마케팅 직무가 적합한데 합격예측 포지션에는 다른 직무가 노출되니 의문이 생기기도 했다. - PM, 서비스 기획자, 마케팅 담당자, 데이터 분석가, 전략 기획자 등 여러 직종이 섞여서 나오는데 분리가 힘들다.
포지션 추천 직무가 풍부한 것은 장점이지만 사용자의 관심 직무에 맞춰 정보를 필터링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도 좋을 것 같다고 생각한다.
이번 게시물에서는 채용 위주의 내용만을 다루었지만 사실 원티드는 채용 외에도 커뮤니티 기능, 아티클 제공 등 타 채용 플랫폼에 비해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가 많다.
꼭 구직이 목적이 아니라도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방문해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.
이렇게 원티드 UX 분석 및 아쉬운 점 내용 정리 끝
요약
원티드는 효율적인 정보 검색 및 AI 기반 채용 서비스, 콘텐츠 및 커뮤니티를 통해 개인화되고 차별화된 유저 경험을 제공해 준다.
데이터 기반 개인화 서비스 강화, AI 추천 시스템 세분화 등이 개선된다면 더욱 좋을 것 같다고 생각한다.
개인이 앱 사용 시 느낀 불편 사항을 정리한 내용이라 매우 주관적인 내용
'기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서비스 기획 프로세스 (0) | 2024.05.13 |
---|---|
[UX] AI 결혼식 축사 생성 서비스 블룸 사용 분석 (0) | 2024.04.2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