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mecab
- 후기
- SQL
- 삼정kpmg pt면접
- 역검 합격 꿀팁
- python
- ai역검 합격
- 삼정kpmg 서류
- lda
- 오류
- 역검 전략게임
- 잡다 ai역검
- 잡다 ai역량검사
- nlp
- 서비스
- pyLDAvis
- 토픽모델링
- kpmg 인성검사
- 삼정kpmg 취업
- 역검 결과표
- 삼정kpmg mc4
- gensim
- 코딩테스트
- 파이썬
- join
- 형태소분석
- 컨설팅 면접
- MYSQL
- 역검 전략게임 꿀팁
- 프로그래머스
Archives
- Today
- Total
쥬니어 분석가
서비스 기획 프로세스 본문
반응형
서비스 기획에 있어서 필요한 산출물과 전반적인 서비스 기획 프로세스를 정리한 내용입니다.
1단계: 아이디어 발굴 및 타당성 검증
- 목표: 앱의 핵심 아이디어를 명확히 정의하고, 시장에서 성공 가능성이 있는지 검증합니다.
- 산출물:
- 아이디어 요약서: 앱의 기능, 타겟 사용자, 차별점 등을 간략하게 요약합니다.
- 시장 조사 보고서: 앱과 관련된 시장 규모, 경쟁 상황, 사용자 트렌드 등을 분석합니다.
- 경쟁 분석: 주요 경쟁 앱을 분석하고, 자체 앱의 차별점을 명확히 합니다.
2단계: 요구사항 정의 및 목표 설정
- 목표: 앱의 기능, 성능, 디자인 등을 구체적으로 정의하고, 달성해야 할 목표를 설정합니다.
- 산출물:
- 사용자 시나리오: 대표적인 사용자 유형별로 앱 사용 과정을 시나리오 형태로 작성합니다.
- 목표 및 KPI: 앱의 성공을 측정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와 지표를 설정합니다.
3단계: 정보 아키텍처 설계
- 목표: 앱의 정보 구조를 설계하고, 사용자가 쉽게 정보를 찾고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합니다.
- 산출물:
- 기능 정의서: 앱에서 제공해야 할 모든 기능을 상세하게 정의합니다.
- 정보 아키텍처 다이어그램: 앱의 정보 구성 및 흐름을 도식으로 표현합니다.
- 사이트맵: 앱의 모든 페이지 및 콘텐츠를 계층적으로 구성합니다.
- 와이어프레임: 주요 화면의 디자인 및 레이아웃을 간략하게 표현합니다.
4단계: 디자인 및 프로토타입 제작
- 목표: 앱의 디자인을 구체화하고, 사용자 테스트를 통해 개선합니다.
- 산출물:
- 디자인 가이드라인: 앱의 브랜드, 색상, 폰트, UI 요소 등을 정의합니다.
- 프로토타입: 실제 앱과 유사한 기능을 가진 시제품을 제작합니다.
- 사용자 테스트 보고서: 사용자 테스트 결과를 분석하고, 개선점을 도출합니다.
5단계: 개발 및 테스트
- 목표: 앱을 실제로 개발하고, 기능 및 성능을 테스트합니다.
- 산출물:
- 소스 코드: 앱 개발에 사용된 코드입니다.
- 테스트 케이스: 앱의 기능 및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시나리오입니다.
- 버그 보고서: 테스트 과정에서 발견된 버그를 기록합니다.
6단계: 유지보수
- 목표: 서비스를 모니터링하고 CS에 대응합니다.
반응형
'기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UX] AI 결혼식 축사 생성 서비스 블룸 사용 분석 (0) | 2024.04.22 |
---|---|
[UX] 원티드 UX 분석 및 아쉬운 점 (3) | 2024.02.1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