쥬니어 분석가

서비스 기획 프로세스 본문

기획

서비스 기획 프로세스

jyuuni 2024. 5. 13. 16:13
반응형

서비스 기획에 있어서 필요한 산출물과 전반적인 서비스 기획 프로세스를 정리한 내용입니다.

1단계: 아이디어 발굴 및 타당성 검증

  • 목표: 앱의 핵심 아이디어를 명확히 정의하고, 시장에서 성공 가능성이 있는지 검증합니다.
  • 산출물:
    • 아이디어 요약서: 앱의 기능, 타겟 사용자, 차별점 등을 간략하게 요약합니다.
    • 시장 조사 보고서: 앱과 관련된 시장 규모, 경쟁 상황, 사용자 트렌드 등을 분석합니다.
    • 경쟁 분석: 주요 경쟁 앱을 분석하고, 자체 앱의 차별점을 명확히 합니다.

2단계: 요구사항 정의 및 목표 설정

  • 목표: 앱의 기능, 성능, 디자인 등을 구체적으로 정의하고, 달성해야 할 목표를 설정합니다.
  • 산출물:
    • 사용자 시나리오: 대표적인 사용자 유형별로 앱 사용 과정을 시나리오 형태로 작성합니다.
    • 목표 및 KPI: 앱의 성공을 측정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와 지표를 설정합니다.

3단계: 정보 아키텍처 설계

  • 목표: 앱의 정보 구조를 설계하고, 사용자가 쉽게 정보를 찾고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합니다.
  • 산출물:
    • 기능 정의서: 앱에서 제공해야 할 모든 기능을 상세하게 정의합니다.
    • 정보 아키텍처 다이어그램: 앱의 정보 구성 및 흐름을 도식으로 표현합니다.
    • 사이트맵: 앱의 모든 페이지 및 콘텐츠를 계층적으로 구성합니다.
    • 와이어프레임: 주요 화면의 디자인 및 레이아웃을 간략하게 표현합니다.

4단계: 디자인 및 프로토타입 제작

  • 목표: 앱의 디자인을 구체화하고, 사용자 테스트를 통해 개선합니다.
  • 산출물:
    • 디자인 가이드라인: 앱의 브랜드, 색상, 폰트, UI 요소 등을 정의합니다.
    • 프로토타입: 실제 앱과 유사한 기능을 가진 시제품을 제작합니다.
    • 사용자 테스트 보고서: 사용자 테스트 결과를 분석하고, 개선점을 도출합니다.

5단계: 개발 및 테스트

  • 목표: 앱을 실제로 개발하고, 기능 및 성능을 테스트합니다.
  • 산출물:
    • 소스 코드: 앱 개발에 사용된 코드입니다.
    • 테스트 케이스: 앱의 기능 및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시나리오입니다.
    • 버그 보고서: 테스트 과정에서 발견된 버그를 기록합니다.

 

6단계: 유지보수

  • 목표: 서비스를 모니터링하고 CS에 대응합니다.
반응형